최근 본 업체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금융권소식

"퇴직연금 지켜라"… 비상걸린 시중은행

올들어 4대銀 1900억 순유출
실물이전 충격 본격화 우려 커
고금리·차별화로 절치부심
1대1 상담·수수료 면제 혜택




작년 10월 말 퇴직연금 실물이전이 시작된 후로 금융권에서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으나 초반 성적은 은행들이 증권사에 뒤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까지는 은행들의 활발한 마케팅 활동과 각종 이벤트로 2900억원가량이 순유입됐으나 올해 들어선 순유출로 전환됐다.

21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20일까지 퇴직연금 잔액은 1883억원 감소했다. 특히 개인형 퇴직연금(IRP)에서 1207억원이 빠져나갔다. 기업 단위로 이동이 이뤄지는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도 각각 657억원, 19억원가량 감소했다. DB형은 퇴직금과 마찬가지로 퇴직 후 받는 금액이 정해진 상품이다. DC형은 개인이 직접 자금을 운용하는 식이다.

작년 10월 31일부터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되면서 기존에 보유한 금융 상품을 해지하지 않고도 퇴직연금을 타 금융사로 갈아탈 수 있게 됐다. 제도가 시행되기 전엔 퇴직연금 가입 금융사를 갈아타려면 기존 상품을 해지해야 했다. 중도 해지를 해야 하다 보니 복리 효과를 누리기 어려웠다. IRP의 경우 수수료도 내야 했으나, 제도 시행으로 이런 부담이 줄면서 이전이 자유로워졌다.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 전부터 증권사로의 머니무브를 점치는 목소리가 작지 않았다. 은행들도 초반엔 공격적인 광고 집행 등 활발한 마케팅을 펼치며 대응했다. 일례로 연금 시장에서 강자로 꼽히는 하나은행은 DB형 상품 금리를 공격적으로 제시하며 작년 10월 말부터 연말까지 규모를 키웠다. 우리은행도 퇴직연금 이전 고객에게 상품권을 증정하고, IRP 신규 가입자에겐 수수료 면제 등 혜택을 제공했다. 마케팅 덕분에 작년 말까지는 은행들이 비교적 '선방'했다. 작년 말까지 4대 은행의 퇴직연금 유입·유출 액수를 보면 개인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IRP를 제외하고 유입이 더 많았다. DB형과 DC형, IRP 등 세 가지 상품에서 4대 은행은 추가로 2910억원을 확보했다.

올해 들어선 상황이 바뀌었다. 마케팅 효과가 끝나고 은행에선 퇴직연금 이전을 통해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증권사들은 실물이전 제도 시행 이후 이달 20일까지 퇴직연금 이전으로 1조원이 넘는 자금을 빨아들였다.

퇴직연금 수성에 비상이 걸린 은행들은 다양한 방안 마련에 나섰다.

실물이전 제도 시행 후 3000억원 넘는 돈이 빠져나간 A은행은 퇴직연금 운용 상품을 고금리 상품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은행 관계자는 "증권사로 빠져나간다는 것은 은행의 수익률이 그만큼 안 좋다는 인식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금리 상품을 제공하는 금융사를 퇴직연금 쪽으로 끌어들이고, 대신 은행은 다른 분야에서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WM고객그룹 연금사업본부 내에 '퇴직연금 수익률 개선 협의체'를 구성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의 투자 행태에 맞는 방식으로 퇴직연금을 운용하게 하고 인공지능(AI)도 적극 활용한다.

신한은행은 이미 전국 5곳에서 운영 중인 '연금라운지'를 통해 1대1 맞춤형 심화 상담과 금융·비금융 세미나를 제공하고 이를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 또 증권사와 자산운용사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금리가 높은 상품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원금 보장이 되는 안정적 상품 개수도 늘릴 예정이다.

하나은행은 증권사에 없는 미국 관련 상품이나 환노출 주식형 상품 등을 제공해 차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연금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2차전지 상장지수펀드(ETF)나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유리한 '커버드콜' 등은 판매를 자제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작년 한 해에만 123개 펀드와 ETF 라인업을 퇴직연금 운용에 추가해 현재 532개까지 늘려놓은 상태다. 또 신규 비대면 IRP 고객에 대한 수수료 면제 혜택을 올해도 제공할 계획이다.

[박인혜 기자]

박인혜 기자(inhyeplove@mk.co.kr)
TIP 대출빌리고에 입점된 업체마다 기준과 상품,금리,상환기간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여러 업체와 상담해보시는게 유리합니다.
전국 대출업체 등록 현황
서울
푸른자금대부 서울
푸른자금대부
서울
나이스머니대부 서울
나이스머니대부
서울
가을대부 서울
가을대부
인천
열린25시대부 인천
열린25시대부
서울
가야대부 서울
가야대부
서울
나라대부 서울
나라대부
서울
제일종합대부중개 서울
제일종합대부중개
서울
세상대부 서울
세상대부
서울
희망서민파이낸셜대부 서울
희망서민파이낸셜대부
서울
나라대부중개 서울
나라대부중개
14 개 더보기 >
실시간 대출문의 등록 현황
경기
경기
2025-04-08
경기
경기
2025-04-07
경남
경남
2025-04-02
울산
울산
2025-04-01
경기
경기
2025-03-31
경기
경기
2025-03-29
인천
인천
2025-03-28
대전
대전
2025-03-27
경기
경기
2025-03-22
경북
경북
2025-03-22
524 개 더보기 >

고객센터

1599-5869

평일 09:3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계좌정보

기업은행 530-078323-04-018 예금주 : 권택수

대출 중개 플랫폼, 대출빌리고

대출빌리고는 광고 플랫폼 회사로서 직접적인 중개 및 대출은 하지 않습니다.
대출빌리고는 한국대부금융협회, 지자체 정식허가 업체만 광고 등록이 가능합니다.
대출빌리고에 기재된 광고 내용은 대부(중개)업체가 제공하는 정보로서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과도한 빚은 당신에게 큰 불행을 안겨줄 수 있습니다.
중개수수료를 요구하거나 받는 것은 불법입니다.
대출 시 귀하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금리 및 상환안내

금리 연20% 이내, 연체이자율 20% 이내 (단, 2021. 7. 7부터 체결, 갱신, 연장되는 계약에 한함)
취급수수료 없음, 중도상환 수수료 없음, 중개수수료 없음, 추가비용 없음.
상환기간 : 12개월 ~ 60개월 / 총 대출 비용 예시
100만원을 12개월 기간 동안 최대 금리 연20% 적용하여
원리금균등상환방법으로 이용하는 경우 총 상환금액 1,111,614원
(단, 대출상품 및 상환방법 등 대출계약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채무의 조기상환수수료율 등 조기상환조건 없음.

사이트명 : 대출빌리고 | 상호명 : 대출빌리고 대부중개 | 대표자 : 권택수 | 개인정보책임자 : 권택수 | 주소 : 대구광역시 북구 한강로8길 22-2, 107호(금호동)
사업자등록번호 : 263-13-02744 | 대부중개업등록번호 : 2024-대구북구-0034 | 대부업등록기관 : 대구시 북구청 일자리정책과 053-665-2667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3-대구달서-0966 | 대표번호 : 1599-5869 | FAX : 0508-916-9516

Copyright © 대출빌리고 All rights reserved.
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