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기기 업체 7200억에 사겠다”…공개매수 제안한 프랑스 투자사
제이시스메디칼 범용전기수술기 덴서티 [사진 = 제이시스메디칼]
제이시스메디칼 범용전기수술기 덴서티 [사진 = 제이시스메디칼]
프랑스 투자사인 아키메드(Archimed)그룹이 코스닥 상장사인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 제이시스메디칼에 대한 7244억원 규모 공개매수를 추진한다.
아키메드는 이미 인수한 경영권 지분에 더해 공개매수까지 최대 1조원을 투입해 100% 가까운 지분을 확보한 뒤 제이시스메디칼에 대한 상장폐지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베인캐피탈이 인수한 클래시스, 한앤컴퍼니가 새주인이 된 루트로닉에 이어 제이시스메디칼까지 인수합병(M&A) 매물로 등장하며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에 대한 국내외 투자사들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키메드그룹은 산하 시러큐스서브코 주식회사를 통해 제이시스메디칼 보통주 5572만4838주(지분율 72%)에 대한 공개매수를 진행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공개매수 예정가는 주당 1만3000원선으로 이는 직전 거래일 주가(1만760원)보다 20.81% 높은 수준이다. 공개매수는 6월 10일부터 7월 22일까지 총 43일 동안 진행된다.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 주관 업무를 맡게 된다.
아키메드 측은 응모 주식 수가 최소매수예정수량인 1801만3879주(약 22.38%)을 넘을 경우에만 응모 주식 전부를 사들일 방침으로 알려졌다. 주당 가격을 감안하면 공개매수 규모는 최대 7244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공개매수가 성공할 경우 아키메드는 제이시스메디칼 보통주 7618만3756주(잠재발행주식총수의 98.44%)를 소유하게 된다.
앞서 지난 7일 아키메드는 창업자이자 최대주주인 강동환 전 대표, 이명훈 이사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해 강동환 전 대표 소유 주식 전부(1797만2844주)와 이명훈 이사 소유 주식 일부(248만6074주)를 매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제이시스메디칼 지분 2045만8918주(26.44%)를 확보했다. 공개매수가와 동일한 가격에 인수했다고 가정했을때 약 2660억원에 달하는 규모로 아키메드가 제이시스메디칼을 인수하는데 투입되는 금액은 최대 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제이시스메디칼은 지난 2004년 설립된 피부용 레이저, 초음파의료기기 전문기업이다. 고주파(RF) 피부미용 의료기기 ‘포텐자’를 선보였으며, 최근에는 신제품 ‘덴서티’를 내놓으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해 1430억원의 매출과 36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 2021년 스팩 합병 방식으로 코스닥에 상장했으며, 지난 7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 8246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아키메드는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된 프랑스의 투자회사다. 주로, 바이오 제약, 소비자 건강, 헬스케어 IT, 체외 진단, 생명과학 도구 및 생물학 서비스, 의료기술, 제약 서비스 7개 부문으로 구성됐다. 주로 북미와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대상으로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왔다. 지난 2022년에는 미국의 의료 검진 제품 업체 나투스메디컬(Natus Medical)을 11억달러(약 1조5191억원)에 인수하기도 했다.
IB업계에서는 국내외 투자사들이 루트로닉, 클래시스에 이어 제이시스메디칼까지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로 국내 업체들의 높은 경쟁력과 시장 성장 가능성을 꼽는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는 전 세계 미용 의료 시장 규모는 2023년 154억달러에서 2028년 259억달러로 연평균 11%씩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앞서 글로벌 PEF 운용사 베인캐피탈은 지난 2022년 병원용 피부 의료기기 업체 클래시스 지분 60.84%를 6699억원에 인수했다. 한앤컴퍼니는 지난해 1세대 레이저 미용의료기기 업체 루트로닉에 대한 두 차례 공개매수를 통해 지분 100%를 확보한 뒤 같은 해 10월 코스닥에서 루트로닉을 상장폐지시켰다. 당시 투입된 금액은 1조원에 달한다.
IB업계 관계자는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은 실적이 빠르게 성장할 뿐 아니라, 수출 비중이 높아 수년 전부터 업계의 관심이 높아진 상황”이라며 “기존 시장인 선진국에서 인구 고령화에 따라 시장이 확대될 뿐 아니라, 최근에는 개발도상국가로 소비가 늘고 있어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말했다.
오대석 기자(ods1@mk.co.kr), 홍순빈 기자(hong.soonbin@mk.co.kr)